본문 바로가기
철학

사르트르 실존주의 :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by 글랜필드 2021. 7. 6.
반응형

사르트르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말은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이다.
그런데 실존은 무엇이고 본질은 무엇인가?
실존과 본질이 뭔지만 알면 그리고 이 말이 무슨 뜻인지만 알면 일단 사르트르 철학의 절반은 먹고 간다고 볼 수 있다.

먼저 본질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보자.
여기 의자들이 있다. 


모양도 다르고 크기도 다르고 색깔도 각각 다르지만 여기에 있는 모든 것은 다 의자이다.

 

지어 이것도 의자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사람이 앉을 수 있으니까. 사람이 앉을 수 있으면 그것은 다 의자이다.

 

의자의 본질 = 사람이 앉을 수 있다는 것


본질 = 어떤 것이 존재하는 이유나 목적

모든 사물에는 본질이 있다. 

신발의 본질 = 사람의 발을 보호하는 것
우산의 본질 = 비를 피하게 하는 것 

여기에 인간들이 있다. 피부색도 다르고 생김새도 다 다르다. 하지만 여기에 있는 모든 것은 다 인간이다. 

심지어 아래도 인간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왜 이것들을 인간이라고 하는가? 생각할 수 있으니깐 인간인가? 아니다. 생각할 수 없어도 인간은 인간이다.

그럼 인간의 본질은 무엇인가? 그렇다 인간한테는 본질이 없다. 인간이 존재하는 이유, 목적, 기능 그런 거 없다.

인간은 그냥 존재하는 거다. 심지어 존재하고 싶어서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누가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사람은 없다. 그냥 태어나진 거다. 우리 모두는 그냥 태어났다. 세상에 그냥 던져진 존재자이다. 이것을 피투성(被投性)이라고 한다. 인간이 태어난 목적, 기능, 가치 이런 거 없다. 인간은 그냥 실존하는 존재자이다.

 

'이것이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Existence precedes Essence)라는 말이다. 

 

자유를 선고받다.
그래서 인간은 자유이다. 어떻게 살아야 한다는 규범도, 무엇을 해야 한다는 의무도, 주어진 역할도 없다. 아무런 제약도 없다. 완벽한 자유이다. 이것이 과연 좋은 것일까? 그러면 인간은 무엇을 해야 할지 모를 수도 있고 이런 자유가 좀 부담스러울 수도 있다. 그래서 사르트르는 '인간은 자유를 선고받았다'라고 말했다.

선택과 불안
그래서 인간은 매 순간 선택에 직면한다. 그런데 선택은 어렵다. 왜냐하면 정답이 없으니까. 인간한테 주어진 목적이나 기능이 없으니까 정답도 없는 것이다. 그래서 선택이 어려워지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불안하다. 인간의 불안은 정답이 없는 문제지를 받았기 때문에 불안한 것이다. 그래서 불안을 피하기 위해서 자기기만을 하는데, 자신이 마치 어떤 것을 선택할 자유가 없는 것처럼 행동은 한다. 마치 자신에게 이것 말고 다른 선택지가 없는 것처럼 자기를 스스로 속이고 있다는 것이다. 사르트르는 이것을 자기기만이라고 말했다.

모든 것이 다 정답
그런데 정답이 진짜 없을까? 아니다. 사실은 모든 것이 다 정답이다. 정답이 무엇인가? 나한테 가장 가치 있는 것이 정답이다. 그런데 내가 어떤 것을 선택하면 그것이 나한테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되는 것이다. 내가 하고 싶은 일을 하겠다고 선택을 하면 나의 욕망이 가장 가치가 있는 것이 되고, 내가 해야 할 일을 하겠다고 선택을 하면 나의 의무가 가장 가치 있는 것이 된다. 우리가 어떤 것을 선택하는 순간, 거기서 가치가 생겨난다. 따라서 내가 선택한 모든 것이 사실 다 정답이라고 말할 수 있다. 

 

장 폴 사르트르


기투(企投)하는 존재
인간은 선택을 하면서 계속 미래로 나아가야 한다. 자기가 불안하기는 하지만, 어떤 것을 선택을 하면서 자신을 계속 미래로 던져야 한다. 그래서 인간은 기투하는 존재이다. 자신을 던지는 존재이다. 기투란 인간이 현재를 넘어서 미래로 자기 자신을 끊임없이 던지는 실존의 방식이다. 단, 선택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 선택이 어려운 이유는 거기에 따르 책임이 있기 때문이다. 내가 무엇을 선택할지 다른 사람에게 묻거나, 나의 선택을 위임하는 경우는 선택에 따르는 책임을 조금이라도 전가하고 싶기 때문이다. 하지만 물을 필요 없다. 그냥 선택하면 된다. 그리고 그것이 정답인양 행동하면 된다. 그럼 내 맘대로 선택하면 되냐? 그건 또 아니다. 왜냐하면 나의 선택은 인간의 보편적 선택이 되기 때문이다. 내가 만든 가치는 나만의 가치가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의 가치가 되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의 선택이 다른 사람들한테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도 고려해야 한다. 이것을 '앙가주망(Engagement)'이라고 한다. 앙가주망은 정치나 사회문제에 참여하는 것을 말한다. 내가 어떤 것을 선택할 때, 사회적 책임도 고려해야 한다는 말이다.

정리
인간은 아무런 목적도 이유도 없이 그냥 던져진 존재자이다.
우리가 어떤 것을 선택하든 그것은 우리의 자유이다.
하지만 우리가 어떤 것을 선택하는 순간 거기서부터 가치가 나온다.
그리고 그 가치는 나만의 가치가 아니라 다른 모든 사람들의 가치이다.
이것이 바로 사르트르의 실존주의이다.
인간은 피투성(被投性)으로 태어났지만 기투(企投)하는 존재이다.

반응형

댓글